1. 🧐 이 논문을 선택한 이유이전 저널 미팅들(Zhang et al., Abbas et al.)을 통해 'AI 기반 네트워크 약리학'의 최신 3단계 방법론과 AI 모델(GNN) 평가의 함정까지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이 모든 과정을 아우르는, 가설 설정부터 동물실험 검증까지 'Full-package'를 보여주는 연구가 궁금했습니다.이 논문(Li et al., 2025)은 바로 그 모범 답안입니다. 복막 투석 환자의 심각한 합병증인 '복막 섬유증'을 대상으로, Single cell RNA sequencing부터 동물실험까지 멀티오믹스 기술(scRNA-seq, bulk RNA-seq)로 '질병 타겟'을 식별합니다. 그리고 '네트워크 약리학(NP)'으로 천연물 성분(Salidroside, SAL)의 '약..
1. 🧐 이 논문을 선택한 이유네트워크 약리학(NP)의 기본 개념을 다룬 고전적인 논문들에 이어, 가장 '핫'한 트렌드인 인공지능(AI)이 NP와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알고 싶었습니다.이 논문(Zhang et al., 2024)은 2024년 1월 Briefings in Bioinformatics라는 저명한 저널에 게재된 최신 리뷰 논문으로, AI 기술을 '한의학 네트워크 약리학'에 적용하여 '정밀 한의학'을 구현하는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제시합니다. AI와 NP, 그리고 한의학이라는 세 가지 핵심 키워드의 교차점을 명확히 짚어줄 것으로 기대되어 이번 셀프 저널 미팅 논문으로 선정했습니다. 2. 📝 논문 정보논문 제목: Network pharmacology: towards the artif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