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철연구소
  • 홈
  • 포트폴리오
  • 소개
    • 프로필
    • 수상경력
    • 활동이력
  • 문의
이재철연구소는 혁신의학을 지향합니다.

‌의료와 의학의 변화가 인류의 행복이 되는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외로운 의료가 아닙니다.

의료에서 시작해 4차 산업혁명, 인문사회학까지 아우르겠습니다.

의료산업의 외연을 확장합니다.

전통적인 의료산업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 방향을 찾고자 합니다.

  1. 01
  2. 02
  3. 03

연구소 소개 및 하는 일

이재철연구소가 하고 싶은 일

가치를 실감할 수 있는 R&D의 기획과 수행

‌연구개발은 가치를 생산해야 합니다.  특허, 상품, 서비스, 논문, 명성 등 직접적인 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연구개발을 기획하고 수행에 참여합니다.

의료와 시장을 잇는 다리

의료는 공공재와 산업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두가지 특성을 만족하면서 가치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찾아드립니다.

인류의 건강을 위한 지식의 확산

‌의료는 인류의 건강을 위해 존재합니다. 의료지식의 확산이 더 큰 가치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식의 확산을 통해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재철연구소에서 하는 일

의료분야 연구개발 기획 컨설팅

제약, 건강기능식품, 의료기기의 연구개발 기획을 도와드립니다. 단순한 연구계획서가 아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방향까지 보여드리겠습니다.

의학 논문 컨설팅

의료기관에서 가지고 있는 여러 데이터를 논문화 시킬 수 있도록 해드립니다. 질병치료 뿐만 아니라 서비스 구조, 조직 체계 등 다양한 분야의 논문 방향을 제시합니다.

강의 및 세미나

한의약, 4차산업혁명, 연구개발, 기술경영의 분야와 관련된 강의 및 세미나에 강사 초청을 받습니다. 의료기술의 융합과 관련해 관심있으신 분들은 연락주세요.


전화연락
031-875-1075
이메일
iam@jcleelab.com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271-9 상가동 203호
이재철 연구소장 학술 이력

·    논문

총 34편 저술.
주저자 총 23편. SCI급 2편, 국내학술지 16편, 학술대회 4편, 기타 1편
공동저자 총 11편.SCI급 4편, 국내학술지 6편, 학술대회 1편

·    과제

정부출연연구원 과제 및 기업과제 기획 및 수행
연단위 과제 규모 5천~10억 (직접비 기준)

·    저서

총 5권 저술
2권 단독저자, 3권 공동저술

·    언론

매일경제, YTN, 한의신문 등 언론 및 매체 보도

이재철


한의사로 한의약, 인공지능 정보통신, 기술경영, 연구개발 기획 등의 분야에 관심이 있으며,
한의약을 포함한 헬스케어 분야에서 연구개발을 기반으로 한 시장진입 전략 개발을 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력
2016-현재
이재철연구소장
2024-현재
신도한의원장
2018-2020
대한한의사협회 정보통신이사
2016
카이스트 기술경영전문대학원 졸업
2009-2015
한국한의학연구원 공중보건의 및 연구원
2009
동신대학교 한의학과 졸업

출간논문
주저자
1. Jae Chul Lee, Siwoo Lee, Hee-Jeong Jin. Development of decision-making rules for pattern identification. European J. of Integrative Medicine. 7(4), 348-353:2015 (SCIE)
2. JaeChul Lee, Youme Ko, Eunsu Jang. What diseases are related to cold and heat patterns? : Digestive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Qi-Blood 2014. P9-6:2014 (Poster)
3. JaeChul Lee, Heejung Jin, Eunsu Jang. Research trends of pattern identification of Korean medicine using the network analysis. International Conference of Qi-Blood 2014. P2-5:2014" (Poster)
4. JaeChul Lee, Sang Oak Dong, Youngseop Lee, Sang-Hyuk Kim, Siwoo Lee. Recognition of and interventions for Mibyeong (sub-health) in South Korea: a national web-based survey of Korean medicine practitioners.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3(2), 60-66:2014
5. 이재철, 동상옥, 이시우. 다기관 증례 수집을 통한 정상, 과체중, 비만군에서의 한의 병증 및 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에 대한 연구. 한방비만학회지. 13(1), 10-16:2013.
6. 이재철, 박선희, 윤정호, 김정원, 임창규. 안면거상 및 팔자주름 개선을 위한 매선 시술 표준안 제안.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6(4), 43-50:2013.
7. 이재철, 진희정. 설문 최적화를 통한 개방형 웹 변증 시스템 개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7(6), 827-31:2013.
8. 이재철, 동상옥, 김상혁, 이영섭, 진희정. 자가 기입 변증 설문문항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도 조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7(3), 336-41:2013.
9. 이재철, 임창규, 김정원, 박선희, 윤정호. 매선을 활용한 한의 안면 성형 임상 연구 설계 제안.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6(2), 78-87:2013.
10. 이재철, 김동수, 장은수. 현지 기술 조사활동을 통한 중국의 미병 정책 및 의료서비스 최신 동향 보고. 대한예방한의학회지. 17(1), 137-147:2013.
11. JaeChul Lee, Sang-Hyuk Kim, Youngseop Lee, Seonghwan Song, Yunyoung Kim, Siwoo Lee. The concept of Mibyeong (sub-health) in Korea: A Delphi study. European J. of Integrative Medicine. 5, 514-8:2013 (SCIE)
12. 이재철, 동상옥, 박수정, 주종천, 이수경. 사상체질별 체질량지수, 나이, 성별과 삶의 질에 대한 상관성 연구- 1개 한방병원의 건강검진 내원자를 중심으로.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8(3), 95-101:2012
13. 이재철, 진희정.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최근 5년간 중국내 미병 연구동향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6(5), 615-620:2012.
14. 이재철, 김상혁, 이영섭, 장은수, 이시우. 한의학의 미병 개념 및 변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16(2), 31-39:2012.
15. 이재철, 김상혁. 동의수세보원 경험방에 근거한 사상 체질별 복진의 문헌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6(2), 141-146:2012.
16. Jaechul Lee, Sanghyuk Kim, Namsik Kang, Haejung Lee, Jaeuk Kim. Relations between 10 primary pulse conditions based on doctors' pulse diagnoses. 10th Meeting of Consortium for Globalization of Chinese Medicine. 2011 (Poster)
17. 이재철, 이유정, 김재욱, 김상길, 강남식, 김종열, 김상혁. 사상체질별 건강수준에 따른 맥상, 안면, 피부, 음성의 물리량 도출을 위한 문헌고찰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5(4), 755-758:2011
18. 이재철, 이혜정, 이유정, 김근호, 김상혁, 이시우, 장은수, 김종열. 전문가 진단을 통한 체질별 건강수준과 설문결과의 연관성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3(1), 108-114:2011.
19. 이재철, 김종열. 자가 경혈자극에 특화된 한방 치료 콘텐츠 개발. 전자공학회지. 37(7), 723-31:2010.
20. 이재철, 김재욱, 이혜정, 강남식, 장은수, 김종열. 설문을 통한 BMI별 발한 양상에 대한 연구. 대한전자공학회 하계학술대회. 33(1), 1941-1942:2010.
21. 이재철, 강남식, 이혜정, 김종열, 김재욱. 전문가 진단에 기반한 10대 맥상들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4(6), 1077-1081:2010.
22. 이재철, 김상혁, 김종열. 사상인의 육경변증별 침구처방 문헌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4(5), 790-795:2010.
23. 이재철, 유현희, 김근호, 김종열. 東醫壽世保元經驗方에 근거한 사상체질별 舌診의 문헌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2(1), 1-8:2010.

공동저자
1. Lee BJ, Lee JC, Nam J, Kim JY. Prediction of cold and heat patterns using anthropometric measures based on machine learning. Chinese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2018 Jan;24(1):16-23.
2. Chang-Su Na, Dongwook Kwak, Changwoo Lee, Inseong Kong, JaeChul Lee, and Donghee Choi. Comparison of the spasmolytic effects of Jakyak-Gamcho decoctions derived via different extractants.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5. (SCIE)
3. Yun-Young Kim, Min-Kyung Yeo, JaeChul Lee, Eunsu Jang. Cold and Heat Patterns Related to Digestive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17th International Congress of Oriental Medicine. P1-18:2014 (Poster)
4. 김신웅, 김세준, 손슬기, 동상옥, 이재철, 신동재. 두부 전방 정도와 경추 추간판 탈출증 발생 부위의 상관성 분석.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8(2), 31-38:2013.
5. 진희정, 백영화, 이영섭, 이재철, 김명, 김상혁. 미병 연구의 네트워크 분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6(4), 546-550:2012.
6. 정창진, 구본초, 이재철, 김재욱, 전영주, 김근호, 김종열, 김영민. 체질에 따른 고령자 여성의 피부 탄성 및 발한 특성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4(3), 60-8:2012 (Korean)
7. Duong Duc Pham, JaeChul Lee, Myeong Soo Lee, and Jong Yeol Kim. Sasang types may differ in eating rate, meal size, and regular appetit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sia Pacific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1(3), 327-37:2012 (SCIE)
8. Duong Duc Pham, JaeChul Lee, Bon Cho Ku, Yun Young Kim, Jong Yeol Kim. Rel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resting metabolic rate,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insulin sensitivity in Sasang typology for young male persons: An observational study. European J. of Integrative Medicine. 4(2), e159-e167:2012 (SCIE)
9. 강남식, 이재철, 구본초, 김종열, 김영민. 고령자의 손등피부 탄성 특성을 활용한 체질분류 방법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5(6), 1050-1055:2011.
10. 김정원, 김주영, 최승범, 한상욱, 이재철, 김동훈. 자하거 약침으로 호전된 방아쇠 수지 환자의 증례 보고. 대한약침학회지. 13(4), 139-47:2010.
11. 황동욱, 김근호, 이유정, 이재철, 김명근, 김종열. 얼굴 표정 시각자극에 따른 사상 체질별 유발뇌파 예비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22(1), 41-48:2010.
학술대회
2016. 05. 16-20. Integrative Medicine and Health 2016, Las Vegas, USA
2014. 11. 1-3. International Congress of Oriental Medicine 17th, Taipei, ROC.
2014. 09. 5-7.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Qi-Blood 2014, Beijing, PRC
2013. 11. 20-23. MEDICA 2013, Dusseldorf, Germany
2012. 11. 03. 2012 대한안이피학회 추계 학회 논문발표, 부산, 대한민국.
2011. 08. 26-28. Consortium for Globalization of Chinese Medicine 10th, Shanghai, PRC
2010. 11. 19-21. 2010 IN-CAM Research Symposium, Vancouver, Canada
저서
1. 메가트렌드랩(공저). 『바이오헬스케어 트렌드: 블루칩』. 서울:율곡출판사, 2018.
2. 메가트렌드랩(공저). 『바이오헬스케어 트렌드: 융합의 시대』. 서울:율곡출판사, 2017.
3. 카이스트기술경영전문대학원(공저). 『스마트테크놀로지의 미래』. 서울:율곡출판사, 2016.
4. 이재철. 『뒷목, 괜찮아요?』. 경기도 부천:부크크, 2016.
5. 이재철. 『임상온병학』. 서울:이재철연구소, 2023.
참여과제
1. fNIRS를 이용한 침 자극의 인지기능개선 치료기전 탐색연구. 2016.09. - 2016.12. 한국한의학연구원.
2. 인체 미세전류반응과 근적외선 정보를 활용한 비침습적 당뇨 스크리닝 가능성 탐색을 위한 사전연구: 단면적, 관찰연구. 2016.09. - 2016.12. 한국한의학연구원.
3. ‌***이 ‌***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단일기관, 무작위 배정, 이중눈가림, 위약대조, 인체적용시험. 2016.08.- 2016.12. ‌***. (기업과제)
4. 미병자료 통합분석 및 예방관리 시스템 개발. 2014.06. - 2019.06. 미래창조과학부
5. 증의 실질 규명 및 한의변증분류기술 개발. 2014.01. - 2018.12. 한국한의학연구원
6. 동서의학 융합의 미병(未病) 진단기준 개발. 2012.01. - 2012.12. 한국한의학연구원
7. 오감형 한방 진단/치료 컨텐츠 개발. 2006.01. - 2013.10. 지식경제부
언론보도
1. 회무프로그램 안정화·커뮤니티 활성화·한의맥 리뉴얼 등 “회원들이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최신기술 도입 노력할 것”(기사), 한의신문, 2019.08.01
2. 대전대 둔산한방병원, '산학연 및 지자체 연결사업 모델 개발' 심포지엄 개최, 대전투데이, 2016.06.19.
3. 대전대 둔산한방병원-대전 서구 '한의약건강증진사업' 업무 협약 체결(기사), 대전투데이, 2016.05.05.
4. 대전대 둔산한방병원, '산학연 및 지자체 연결사업 모델 개발' 심포지엄 개최(기사), 대전투데이, 2016.06.19.
5. 정부의 벤처 지원 사업 대상에 한방 분야도 포함시켰으면 (기고), 문화일보, 2015.08.19.
6. 매경TEST 응시자 인터뷰 "한방의료벤처 꿈, 매테로 구체화" (인터뷰), 매일경제, 2015.07.22.
7. 질병 예방...미래 보건의료 패러다임 '부상' (기고), 한의신문, 2013.11.11
8. '온라인 한의사에게 물어 보세요'…한의학硏, 건강 웹 개발 (기사), 뉴시스, 2013.09.28.
9. '첨단 바이오 산업 '한 자리에' (인터뷰), YTN, 2011.09.28.
10. 더위와 친해져라! 한방으로 여름나기 (감수), 한의학e야기, 2011.06.28.